노년층 빈곤율 45% 육박, 미래 참담할 수도
연금개혁, 세제개선 등 생활보장책 시급하다
연금개혁, 세제개선 등 생활보장책 시급하다
수부귀다남(壽富貴多男)은 우리 전통사회에서 인간이 지닌 가장 원초적인 욕망이었다. 농업사회에서 다남(多男)은 부(富)를 쌓을 수 있는 길이었고 또 이를 통해 귀(貴)해질 수도 있었다. 이는 초기 산업사회까지도 마찬가지였지만 다남은 이제 별로 의미 없는 일이 되었다. 한편 부와 귀는 어느 시대이건 또 어느 사회이건 상대적인 것이므로 결국은 소수에게만 허락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면서 수(壽)는 우리 사회에서 거의 모두가 누리게 된 듯싶다. 엄청난 변화다.
오래 살고자 하는 욕망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이다. 중국 천하를 통일한 진시황도 불로장생을 위해 한반도에까지 사람을 보내 약초를 찾았지만 결국은 49세에 세상을 떠났다. 당시로서는 상당히 장수한 셈이다. 수명은 삶의 여건이 좋아지면 저절로 늘어나므로 소득 수준과 상당히 비례한다. 세계 여러 국가를 살펴보면 개인소득이 1000달러인 나라는 평균 수명이 45세, 5000달러면 65세, 그리고 3만 달러면 80세 정도다. 지난 반세기 만에 소득 1000달러에서 3만 달러 이상으로 기적적 경제 성장을 이룬 대한민국은 따라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수명이 늘고 있는 나라다.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그리고 14% 이상이면 고령사회로 분류하는데, 예를 들어 프랑스는 1865년에 고령화사회에 이르렀다가 1980년이 되어서야 고령사회가 되었다. 그러나 2000년에 고령화사회가 된 대한민국은 2017년에 고령사회에 이르렀다. 프랑스의 115년 변화를 우리는 17년 만에 겪고 있으니 이에 수반되는 여러 가지 사회적 어려움이 훨씬 더 클 것은 당연하다. 2030년이면 대한민국은 노인 인구비율이 25%를 넘을 것이며 이때는 노인 한 명을 2.5명의 생산가능 인구가 부양해야 한다. 2050년에는 1.4명이 노인 한 명을 맡아야 할 것이다. 이것이 과연 가능한 일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