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
서울 현충원(동작동 국군묘지) 참배낙서장 2021. 4. 23. 14:50
오늘 서울 동작동 현충원에 가보려고 했다. 지하철로 동작역에서 하차하여 현충원으로 갔다. 현충원 앞 광장의 꽃시계는 10시 35분을 가리키고 있었다. 충혼탑으로 가서 참배했다. 충혼탑을 지나 사병묘역에는 채명신장군묘가 있다. 그대들이 여기 있기에 조국이 있다는 말이 이곳을 찾을 때마다 남다르게 느낌이 온다. 대통령묘소를 가기전 임시정부 인사들의 묘역이 있다. 그곳에 갔더니 임시정부 대통령 박은식이라는 묘비가 있다. 인터넷으로 이의 묘가 있다. 박은식은 인테넷으로 찾아보니 독립운동가로 되어있고 대통령이란 내용을 찾을수가 없었다. 이범석장군, 주시경, 안익태의 묘 도 볼수가 있다. 궁금하여 현충원에 알아봤더니 이승만 대통령이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이고 그분은 2대 임시정부 대통령이라 했다. 그곳을 돌아본후 박..
-
현충원의 창빈 안씨묘 명당 중 최고명당스크랩된 좋은글들 2021. 4. 16. 08:12
서울 동작구에 있는 국립서울현충원. 보통 시민들에겐 ‘동작동 국립묘지’라는 표현으로 더 익숙한 곳이다. 나라와 민족을 위해 목숨을 바친 국가유공자들이 잠들어 있다. 1955년 7월 국군묘지로 조성되었다가, 1965년 국립묘지로 승격되어 군인이 아닌 유공자들도 안장 자격을 얻게 되었다. 그래서 이승만 박정희 김영삼 김대중 등 대통령들과 각계 저명인사들도 묻혀 있다. 현충원은 그런 남다른 의미를 가진 만큼 국가에 충성을 약속하는 정치인들이 선거 당선 등 특별한 날에 찾아가 마음을 다잡거나 정치적인 메시지를 알리기도 한다. 벚꽃 명소로도 유명해 요즘 같은 봄날엔 참배객뿐 아니라 상춘객들의 발길도 끊이지 않는다. 관악산에서 이어지는 산줄기가 한강과 만나는 곳에 있는 현충원은 인근 동작대교 위에서 보면 그 전경이..
-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카테고리 없음 2021. 4. 15. 07:05
독립운동가 김규식 가르치고 이승만 추천서 썼어요 지난 5일 서울 연세대학교에 있는 '언더우드 가옥'이 문화재로 등록됐어요. 이 집은 훗날 연세대가 된 연희전문학교의 3대 교장이었던 호러스 호턴 언더우드(한국명 원한경·1890~1951) 박사가 1927년 지었어요. 근대 서양 주택의 양식으로 만들어 보존 가치가 크다는 평가를 받았지요. 언더우드 가문은 우리나라에서 개신교를 선교하고 근대 교육을 펼치는 등 4대(代)에 걸쳐 한국과 깊은 인연을 맺었는데요. 그 시작은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한국명 원두우·1859~1916)였습니다. 생소한 나라, 조선으로 떠났어요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는 영국 런던에서 태어나 13세에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갔어요. 그는 1883년 미국 뉴저지주 뉴브런즈윅에서 신학교를 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