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
대한민국 제헌국회 개회기도문 - 1948년 5월 31일낙서장 2025. 3. 24. 14:09
3월 26일은 이슴만대통령 탄신 150주년입니다. 기념행사는 정동교회에서 오후 2시에 있을 예정입니다. 이승만 대통령 화보집에서 기도문과 제헌국회모습을 발취하여 이곳에 공유압니다. 이 기도문은 1948년 5월 31일 제헌국회 제1차 본회의록에 속기된 것으로서 임시의장을 맡으신 이승만 박사는 단장 의장석 에 등단하여 전 국회의원들에게 먼저 하나님께 기도하자고 제안하여 이윤영 목사의 기도로 시작된 제헌국회 기도문이다. 임시의장 (이승만):대한민국 독립민주국 제1차 회의를 여기서 열게 된 것을 우리가 하나님께 감사해야 할 것입니다. 종교 사상 무엇을 가지고 있든지, 누구나 오늘을 당해 가지고 사람의 힘만으로만 된 것이라고 우리 가 자랑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에 게 감사를 드리지 않을 수 ..
-
-
이승만 대통령의 혜안: 박정희 대통령을 위기에서 두 번 구함.낙서장 2024. 6. 9. 18:22
우리나라 대한민국이 오늘에 이르가 까지는 여러 지도자들이 있긴하지만 그중에서도 건국 대통령 이승만 박사와 경제 부흥의 박정희 대통령을 꼽을 수있다. 박정희 대통령은 실로 비참하고 암울한 시대적 상황에서 극적으로 등장했다. 36년간 우리민족을 깅압 통치해던 일본이 서계대전에서 패망 하면서 우리 대한민국은 조국 광복을 맞이하고 자유민주주의 국가로 재탄생했지만,곧 이어 터진 6·25전쟁으로 국민들은 고통과 폐허 속으로 내몰렸다. 전쟁이 중단된 이후로도 이승만 정권의 부정선거로 인해 4·19혁명이 일어난후 정치의 무질서와 사회혼란은 극에 달해 있었다. 이에 젊은 시절의 박정희 대통령은 전란이 끝난 뒤에도 여전히 가난과 고통 속에 신음하는 국민과 조국의 상황을 목도하고, 죽음을 불사한 굳은 결의와 각오를 ..
-
이승만 기념관 건립 성금종교문화 2024. 2. 27. 20:17
집으로 건국대통령 이승만 회보가 배달되었다. 작년 이승만 동상건립에 작은 금액을 이체한것이 인연이 되어 가끔식 관련 내용을 보내는듯했다. 그곳에 이승만 대통령 기념사업회 모금현황(2023.01. 25~2024.02.01)이 있어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해 올려놓습니다. 후원계좌번호도 같이 올렸습니다. 2024년 2월 26일 건국대통령 이승만 기념관 건립성금현황을 스캔하여 올려놓습니다. 이승만가념관건립성금후원현황 (주)케이씨피 (주)한석상사 CHOE KYUNG PARK PAUL PCF후기기독교 강구창 강대종 강대훈 강덕식 강동구 강석균 강석호 강성중 강신흥 강애경 강영모 강영중 강웅식 강원모 강인자 강종명 강종표 강칠주 강태홍 강효권 고길상 고달오 고승혜 고재득 고형필 공인숙 공장식 구수영 구자서 구현서 권경..
-
'건국전쟁' 영화를 보고낙서장 2024. 2. 2. 16:41
몇일전 매스콤에서 ' 건국전쟁' 시사회가 끝나고 2월 1일부터 지정된 영화관에서 상영한다고 했다. ‘건국전쟁’은 독립과 건국, 자유민주주의 수립을 위한 이승만 대통령의 투쟁을 담은 다큐멘터리다. 1945년 해방 이후 남과 북은 서로 다른 길을 걸어 왔다. 자유를 억압하고 인권을 탄압하는 공산주의 독재 국가 북한과 자유와 민주주의에 기초한 경제 번영과 선진국의 길로 들어선 대한민국. 두 나라는 같은 언어, 역사, 인종을 공유하면서 어떻게 극단적인 두 나라로 갈라졌을까? 지난 70년 역사를 통해서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들고 지켜내기 위해 노력했던 이승만 대통령과 건국1세대들의 희생과 투쟁을 조명한 작품이다. 이승만은 우리나라 건국 초대 대통령이다. 어느 나라나 초대대통령에 대우는 특별나다. 미국의 경우..
-
다큐이승만 대통령 하와이 30년스크랩된 좋은글들 2023. 6. 26. 07:24
하와이대학교 한국학 연구소에서 만난 이덕희 소장이 미국 이민 90주년을 기념해 발간한 한인이민 사진집 '그들의 발자취'를 펼쳐놓고 본지와 인터뷰하고 있다. 그는 “교육사, 여성사에 이어 교회사로서의 한인이민 연구가 자신의 마지막 작업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 소장은 찬송가 ‘부름받아 나선 이몸’을 작곡한 이유선 장로의 딸이다. /호놀룰루=김윤덕 기자 와이키키 해변은 눈부셨으나, 쿨라 콜레아(Kula Kolea) 거리가 주는 감흥엔 미치지 못했다. ‘한국 학교’라는 뜻의 쿨라 콜레아는, 1913년부터 25년간 하와이를 근거지로 독립운동을 펼친 이승만과 한인 동포들의 자취가 서린 곳. 교육이 독립의 근본이라고 믿은 이승만이 사탕수수밭 한인 노동자들의 자녀를 세계 시민으로 길러내기 위해 세운 한인기독학원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