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내가 늙고 병들면 누가 날 돌봐줄까?"…배우자 제친 1위는
    스크랩된 좋은글들 2025. 5. 22. 05:29
     
    2024년 10월 경기도 양주의 한 요양원에서 요양보호사들이 노인들을 돌보고 있다. /김지호 기자
     

    우리나라 40세 이상 성인 10명 중 4명은 고령이 되거나 질병을 앓게 됐을 때 ‘요양보호사’에게 의존하겠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게 의존하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는 지난달 25~30일 전국 40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돌봄 인식 및 수요 조사’를 했다고 21일 밝혔다.

     

    그 결과 응답자의 39%는 고령이나 질병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경우 ‘요양보호사가 돌볼 것’이라고 답했다. ‘배우자가 돌볼 것’이라는 이들은 35%였고, ‘스스로 돌봐야 한다’고 답한 이들은 21%였다. ‘자녀가 돌봐줄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4%에 그쳤다.

     

    남성의 49%는 ‘내가 아프면 아내가 나를 돌볼 것’이라고 답했지만, 여성은 22%만이 ‘내가 아프면 남편이 나를 돌볼 것’이라고 답했다. 남성의 배우자 의존도가 여성보다 2배 이상 높은 셈이다.

     

    미혼자 10명 중 9명(87%) 가까이는 ‘고독사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기혼자는 52%였다. ‘고독사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응답한 이들도 미혼자(37%)가 기혼자(6%) 대비 6배 높았다.

     

    선호하는 돌봄 장소와 관련해서는 ‘현재 살고 있는 집(47%)’이나 ‘살던 지역 내 돌봄받기 좋은 집(32%)’ 등 내가 사는 곳에서 돌봄받기를 원한다는 비율이 80%에 육박했다. 노인복지주택과 요양원은 각각 7%에 그쳤다.

     

    선호하는 임종 장소로는 ‘자택’이라는 답이 절반 가까운 48%로 가장 많았다. 종합병원이 31%, 요양병원이 12%였다.

    하지만 임종 장소로 예상하는 곳으로는 종합병원(29%)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요양병원(25%)이었다.

     

    요양 시설에 대해서는 긍정적(58%)이라는 응답이 부정적(38%)보다 높았다. ‘친구를 사귈 수 있다(74%)’는 기대가 높았으나, ‘학대가 빈번하다(53%)’ 등의 우려도 나왔다.

     

    노인과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돌봄 수준이 ‘충분하지 않다’는 응답은 64%였다. ‘거주 지역 내 노인 돌봄 서비스가 잘 제공되고 있다’고 말한 비율은 36%에 불과했다.

     

    가장 지원이 필요한 서비스(복수 선택)로는 ‘건강관리‧의료(61%)’, ‘식사‧세면 등 일상생활 도움(55%)’, ‘혼자 사는 사람의 안전 확인(49%)’이 꼽혔다. 우선으로 갖춰야 할 서비스로는 ‘가정방문 돌봄(71%)’과 ‘일상생활 지원(68%)’을 요구했다.

     

    노인 돌봄 정책 중 최우선 과제로 꼽은 것은 ‘자부담 경감(42%)’이었다. 지난해 1년간 병원 입원 경험이 있는 이들 중 ‘가족이나 친척, 지인이 무급으로 간병했다’는 응답이 51%로 절반 이상이었다. 간병인 고용은 7%에 그쳤으며 하루 평균 간병비는 15만원이었다.

     

    노인 돌봄 서비스의 책임 주체를 ‘국가’라고 한 비율은 85%로 대다수였다. 노인 돌봄 정책의 중요 가치로도 공공성(51%)이 가장 많이 나왔다. 노인 돌봄을 위해 세금 지출을 늘리자는 데에는 85%가 찬성했다.

     

    ‘연명의료를 원하지 않는다’는 답은 전체의 93%나 차지했다. 임종에 대한 결정은 ‘스스로’, ‘가족과 상의하겠다’는 비율이 각각 44%로 동일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