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문화
-
추어탕종교문화 2023. 9. 23. 21:44
낮과 밤의 길이가 다시 같아지는 절기, 추분이다. 서늘한 바람이 일고 풀벌레 소리가 요란해지는 이즈음이면 물고기들은 벌써 월동 채비를 시작한다. 살을 찌우는 일이다. 민물이든 바다든 물고기들이 대개 초가을부터 제 맛이 도는 이유이기도 하다. 추어(鰍魚)라는 한자 이름을 가진 미꾸라지만큼 이 계절을 강렬하게 연상시키는 물고기는 드물다. 전적으로 양식에 의존하며 제철 개념이 희미해진 지 오래지만, 물 빠진 논과 개울에서 미꾸라지들이 꿈틀대는 이맘때면 추어탕을 찾는 식객들이 부쩍 는다. 마침 미꾸라지는 문어와 함께 해양수산부가 매달 선정해 발표하는 ‘이달의 수산물’이기도 하다. 잉어목 기름종갯과에 속하는 미꾸리와 미꾸라지는 모양도 맛도 살짝 다르다. 미꾸리는 몸통이 둥글둥글해서 ‘둥글이’로 불리고, 미꾸라지는..
-
바티칸에 갓 쓴 김대건 신부 조각상… 세계 聖人들과 나란히종교문화 2023. 9. 7. 08:48
5일(현지 시각) 바티칸 성베드로 대성전 벽감에 김대건 성인의 대리석상이 설치됐다. 이 조각상은 현재는 천으로 덮였으며 16일 축성식 때 정식 공개될 예정이다. /한진섭 작가 제공 한국인 최초 가톨릭 사제인 성(聖) 김대건 안드레아(1821~1846) 신부의 조각상이 5일(현지 시각) 세계 가톨릭의 수도인 로마 바티칸 중심부에 설치됐다. 8000여 명에 달하는 가톨릭 성인 중 한국인을 넘어서 동아시아 성인의 상(像)이 바티칸에 들어서는 것 자체가 처음이다. 도시 전체가 하나의 예술품으로 불리는 바티칸 곳곳에는 성인들의 조각상 1000여 점이 세워져 있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주교회의)에 따르면 김대건 신부의 성상(聖像)은 성 베드로 대성전 오른쪽 외벽에 있는 4.5m 높이의 아치형 벽감(壁龕·벽면을 안으로..
-
청주 양씨(淸州楊氏)의 시조(始祖)에 대하여종교문화 2023. 8. 22. 22:16
‘청주 양씨’시조 충헌공(忠憲公) 양기(楊起), 배종사신으로 공민왕과 노국공주와 함께 고려에 나오다 청주양씨 시조 충헌-암곡공(諱起)는 중국의 홍농 양씨가 원류이다. 중국의 홍농양씨는 동근동족이다. 홍농양씨는 중국의 수천개 성씨중 4대 문벌에 속한다고 한다. 우리나라 ‘청주 양씨’ 시조는 호(號)가 ‘암곡(巖谷)’이고, 시호(諡號)는‘忠憲’ (충헌: 조선의 이태조로부터 받음)인 휘기(諱起) 선조(1303~1394. 7. 17)이시며 원의 수시중(首待中:정승)으로, 중국 원나라황실에서 황세손과 공주의 교육을 맡았던 분이다. 그러던 중, 魯國公主(노국공주: ?~1365: 魏王(위왕)의 公主)가 당시 원에 볼모로 심양왕(瀋陽王)으로 북경)에 머물던 고려 세자 {기(祺): 후에 고려 공민왕(1330~1374)이..
-
감사는 선불입니다.종교문화 2023. 8. 6. 04:19
기록된바 하나님이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을 위하여 준비하신 모든 것은 눈으로 보지못하고 귀로 듣지못하고 사람의 마음으로 도 생각지못하였다 함과 같으니라(고린도전서 2장 9절) 피부색이 다르고 언어가 다를지라도 세계의 부모들은 자녀에게 가르치는 말의 순서는 놀랍도록 비슷하다고 합니다. 가장 먼저 가르치는 말이 엄마, 그다음이 아빠랍니다. 그다음은 바로 ‘고맙습니다’입니다. 많은 어머니가 자녀에게 무언가를 주시기 전 먼저 고맙다고 인사하라고 가르칩니다. 식사시간에 감사기도를 밥을 다 먹고 난 뒤 하나요, 아니면 먹기 전에 할까요. 물론 먹기 전에 감사기도를 합니다. 왜 그럴까요. 음식을 다 먹고 맛있고 배불러서 감사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조건적인 감사요, 나 중심의 감사입니다. 하지만 숟가락도 들기 전 감사 기..
-
-
서울 정신여고 강당에 있는 주님의 교회는 ?종교문화 2023. 6. 26. 19:22
서울 강남구 송파에 정신여고 강당을 예배당으로 사용하는 주님의 교회가 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35년전 이재철 목사님이 교회를 개척하면서 주님이 다시 이세상에 오실때까지 사람이 중심이 아니라 주님이 중심이 되는 교회가 되기를 바라는마음으로 '주님의 교회' 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합니다. 주님의 교회는 일반교회와는 달리 목회자와 장로들을 임기제로 운영하고 있고, 교회 건물을 소유하지 않겠다는 것을 원칙으로 정하여 현재 정신여고에 강당을 신축하여 무상기증을 하고 일요일에 강당을 이용하여 예배보고 있습니다. 헌금할 때 일반교회에서는 헌금자의 이름을 기록하지만 주님의 교회에서는 이름을 적지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름을 적는 이유는 사람들에게 알리는 과시적인 것이라는 경쟁적 개념이 있을 수도 있지만 모든 것을 다 아..
-
그리스도를 닮은 마음,섬기는 마음종교문화 2023. 6. 4. 06:49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 (마가복음 10:45) 주여,우리가주님을섬기다니 정말영광입니다. 회사를 세우고운영하는 일이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를섬기는 일보다훨 씬쉽습니다.대기업이라도마찬가지입니다. 우리 인간은외모를보지만주님은중심을보십니다. 우리는 만인의 눈에 띄는 업적에 상을 주지만 주님은 아무도 모르는 일에 상을주십니다. 주님은 행동이면의 동기에 보상해 주십니다. 세상에 알러지 않고 후히 드런 일에 보상해 주십니다. 희생에 보상해 주 십니다. 참된 종에게는 희생이 일상에 지나지 않습니다. 아버지여,그래서 우리는 주님을 섬기는 이 기쁨으로 인해 감사드립니다. 주님의 사역을 믿고 주님의 일을 후원하니 기뽑니다. 마음을 다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