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의대 대신 공대 택한 95년 수능 수석... 지금 뭐하나 보니스크랩된 좋은글들 2024. 10. 20. 04:41
1995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석에 이어 서울대 본고사 수석을 차지한 정성택씨. /온라인 커뮤니티 199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전국 수석을 차지한 후 서울대 공대에 진학한 정성택씨가 네티즌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금까지 수능 전국 수석을 차지한 이들이 교수 및 법조계, 의료계를 택한 반면 산업 현장에 뛰어든 이는 많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다수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정씨의 근황이 담긴 글이 올라왔다. 1976년생인 정씨는 1995년 수능에서 200점 만점에 194점을 받으며 전국 수석을 차지했다. 부산과학고에 재학 중이던 정씨는 서울대 본고사에서는 1000점 만점에 915.95점으로 전체 수석 합격의 영예를 안았다. 당시 정씨는 “서울대 전기전자제어공학군에서 열심히 공부해 이론보다 실용 분야에서 사회..
-
성수대교 붕괴 30주기누나 소원 대신 이룬 이상엽씨스크랩된 좋은글들 2024. 10. 19. 06:56
"성수대교에서 누나 잃었지만… 지옥에 살지 천국에 살지는 내 선택"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 때 잃은 누나 이승영씨의 소원을 대신 이뤄가고 있는 이상엽씨. 지난 14일 불이 켜진 성수대교 아래에 상엽씨가 누나의 유고시집 '연기는 하늘로'를 들고 서 있다. 사고 30년을 맞은 올해, 승영씨의 14가지 소원은 대부분 이뤄져 있었다. /이신영 영상미디어 기자 “성수대교가 어이없이 무너져 내렸다. 21일 오전 7시 40분쯤 서울 성동구 성수동과 강남구 압구정동을 잇는 성수대교의 북단 5번째와 6번째 교각 사이 상판 50여m가 갑자기 내려앉으면서 다리를 지나던 서울5사8909 한성운수 16번 시내버스 등 차량 6대가 20여m 아래로 추락했다.”(조선일보 1994년 10월 22일 자 1면) 스무 살이던 이승영..
-
"원전 부지 내 SMR 건설하면 수출 위한 모델하우스 될 것’으로 꼽힌다.스크랩된 좋은글들 2024. 10. 18. 07:54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이 지난 14일 본지 인터뷰에서 “내년 전기차 보조금 지침에 배터리 실명제를 비롯한 중국산 배터리에 대한 조치가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 2년간 탄소 배출량이 기대 이상으로 감축됐다”면서도 “원전을 더 많이 사용하지 않으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은 불가능하다”고 했다. /전기병 기자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은 지난 14일 본지 인터뷰에서 “국민 안전 보호 차원에서 배터리 실명제를 비롯해 중국산 배터리에 대한 조치를 담은 전기차 안전 대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한국은 ‘기후 악당’이 아니다”라며 “기후·환경 문제 해결도 과학기술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대통령실은 지난달 기후환경비서관실을 사회수석 산하에서 과학기술수석 산하로 옮겼다. -..
-
춘천마라톤 구간별 공략법카테고리 없음 2024. 10. 17. 07:55
오르막선 상체 숙이고, 보폭은 짧게 하세요 27일 열리는 2024 춘천마라톤(조선일보사·춘천시·대한육상연맹·스포츠조선 공동 주최)이 열흘 앞으로 다가왔다. 올해 참가 인원은 2만707명이다. 1만1056명이 풀코스(42.195㎞), 9651명이 10㎞를 달릴 예정이다. 풀코스는 공지천교에서 출발해 의암호를 일주하고 공지천 축구장 앞으로 골인하며, 10㎞는 공지천교를 출발했다가 공지천교로 되돌아와 골인하는 코스로 진행된다. 반환점 위치 등을 유념해야 한다. 춘천마라톤 대회조직위원회가 안내하는 구간별 공략법을 소개한다.그래픽=정인성◇풀코스 출발~5㎞=출발 전에는 충분한 워밍업과 수분 섭취가 중요하다. 벗어던질 수 있는 여벌 옷을 준비해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출발할 때 너무 빨리 뛰어나가면 후반에 페이..
-
죽음 앞둔 후회 "행복도 선택이더라"카테고리 없음 2024. 10. 17. 07:47
일러스트=최정진 임종을 앞두고(on the deathbed) 가장 후회하는(regret the most) 건 뭘까. 죽음이 임박한 말기 환자(terminally ill patient)들을 돌보는 의사와 임종 간병인(end-of-life caregiver)들은 공통된 것이 있다고 입을 모은다(say in unison). 미국 의사 쇼샤나 웅거라이더 박사는 삶의 끝에 다다른(inch towards the end of life) 이들이 가장 회한을 느낀다는(be most remorseful) 다섯 가지를 CNBC방송에 공개했다. 첫째는 사랑하는 사람들과 충분한 시간을 보내지(spend enough time with loved ones) 못했다는 것이다. 둘째는 일에 너무 매달려 살았던(be consumed b..
-
-
부산 출생 노벨상 1호스크랩된 좋은글들 2024. 10. 17. 05:27
57 03:17 일러스트=박상훈 노벨상 홈페이지에 한국 출신이 3명이라고 되어 있어 눈길을 끈다. 김대중 전 대통령, 소설가 한강에 앞서 1987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찰스 J. 피더슨(1904~1989)의 출생지가 한국이라는 것이다. 노벨위원회는 홈페이지에 국적을 표기하지 않고 출생지, 소속기관 등만 명시한다. ▶찰스 J. 피더슨은 대한제국 시절이던 1904년 10월 3일 부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노르웨이인, 어머니는 일본인이었다. 아버지는 일찍이 노르웨이를 떠나 극동행 화물선 기관사로 일했다. 한국에 정착해 해관(세관)에도 근무했고 이후 평안북도 운산군 운산금광 엔지니어로 일했다. 무역업 하는 가족을 따라 한국으로 이주한 일본인 여성 야스이 다키노를 만나 결혼했다. ▶운산금광은 20세기 초반에 동..
-
과잉 쌀 비축 비용만 2조원, 누구를 무엇을 위한 낭비인가카테고리 없음 2024. 10. 17. 05:19
충북 청주시에 있는 한 공공비축의 벼 보관창고에서 관계자들이 온도 습도 등 벼 상태를 체크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정부가 초과 생산된 쌀을 매입하고 되파는 과정에서 지출한 쌀 비축 비용이 1조7700억원에 달했다. 공공 비축 제도가 도입된 2005년 이후 최대치로, 2022년의 1조1802억원에 비해 1년 사이 50% 가까이 불었다. 쌀값 하락을 막기 위해 수요를 웃도는 초과 물량을 정부 재정으로 매입하도록 의무화한 양곡관리법 때문이다. 사들인 쌀을 보관·관리하는 데 쓴 비용도 지난해 3942억원으로, 2005년 이후 최고치였다. 비축 비용과 보관 비용을 합치면 2조2000억원에 달한다. 쌀은 남아도는데 정부가 수매를 보장해 주니 농가의 쌀 생산은 크게 줄지 않고 재정 지출은 지출대로 늘어나는 악순..